잇쯔미
무지 좋은 log
잇쯔미
  • 분류 전체보기 (67)
    • 웹 (33)
      • HTML, CSS (4)
      • Javascript (4)
      • Django (16)
      • Vue.js (6)
      • Web (2)
    • 서버 (3)
    • 알고리즘 (11)
    • 파이썬 (8)
    • 인공지능 (6)
    • 블록체인 (1)
    • Computer Science (3)
      • 개발상식 (3)
    • 컴퓨터일반 (2)
      • 전자계산기구조론 (1)
      • 데이터통신 (1)
    • 자바 (0)

최근 글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잇쯔미

study blog

HTTPS와 SSL/TLS
웹/Web

HTTPS와 SSL/TLS

2022. 3. 24. 15:04

1. HTTPS (HTTP Secure)

SSL/TLS라는 보안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HTTP에서 통신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구조
  • 일반적으로 HTTP의 포트번호는 80번, HTTPS는 443번.

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aver?isHttpsRedirect=true&blogId=hai0416&logNo=221623579719

 

2. SSL/TLS

SSL (Secure Sockets Layer; 보안 소켓 계층)

securing online connections & protecting sensitive data
"SSL은 웹사이트와 브라우저(혹은, 두 서버) 사이에 전송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인터넷 연결을 보안을 유지하는 표준 기술입니다. 이는 해커가 개인 정보 및 금융 정보를 포함한 전송되는 모든 정보를 열람하거나 훔치는 것을 방지합니다." (출처: SSL, TLS, HTTPS의 정의)

"SSL/TLS는 인증이나 암호키 교환, 정보의 암호화에 사용하는 각 알고리즘을 여러 개 선택하여 사용한다. 어떤 알고리즘을 사용하는가는 통신의 초기 단계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대화하여 서로가 공통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한다." (출처: HTTPS와 SSL/TLS의 뜻과 차이)
  • 응용계층(HTTP)와 전송계층(TCP) 사이에 위치한다.

 

주요 역할

  • 암호화: 도청되더라도 내용을 알 수 없게 함
  • 상호 인증: 공개키 인증서를 통해 상대가 올바른 대상인지 확인
  • 조작 검사: 내용이 조작되었는지 검출

 

TLS (Transport Layer Security; 전송 계층 보안)

SSL v3.0을 참고하여 표준화시킨 것이 TLS이다. 

SSL 의 이전 버전은 이제는 모두 사용하지 않고 TLS로 표준화되어 통용된다. 그러나 여전히 흔히들 SSL이라고 칭하기 때문에 주로 SSL/TLS라 불린다.

✅ SSL과 TLS의 차이를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…!

 

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를 살펴보면 좋다.


참고

  • SSL, TLS, HTTPS의 정의
  • SSL/TLS, SSL, TLS Secure Socket Layer, Transport Layer Security 안전 소켓 계층, 전송계층 보안
  • HTTPS와 SSL/TLS의 뜻과 차이

'웹 > 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WebRTC란?  (0) 2022.03.29
    '웹/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WebRTC란?
    잇쯔미
    잇쯔미

    티스토리툴바